조선 전기에는 물물교환 중심의 교환경제가 화폐경제로 전환되기 시작했다
조선 초기의 경제 체제는 기본적으로 자급자족과 물물교환 중심의 농업 경제 구조였다. 화폐는 존재했지만 유통 범위가 매우 제한적이었으며, 대부분의 거래는 곡물이나 직물, 금속 같은 실물 교환을 통해 이루어졌다. 그러나 시간이 지나면서 농업 생산량이 증가하고 지역 간 상업이 확대됨에 따라, 교환의 수단으로서 화폐의 필요성이 점차 커지게 되었다. 이에 따라 조선 정부는 고려 말부터 사용되던 저화와 같은 지폐를 이어받거나, 명나라 동전을 일부 유통시키는 방식으로 화폐제도를 실험하였다. 하지만 지폐는 위조 문제와 신뢰 부족으로 인해 실패하였고, 결국 동전 중심의 화폐 정책으로 방향을 전환하게 된다. 조선 전기의 화폐정책은 통일성과 일관성이 부족했기 때문에 지역마다 사용하는 화폐의 종류도 달랐고, 국가가 주도하는 시장 조절 능력은 매우 낮았다. 이는 화폐경제가 정착되기 위한 기반이 아직 미약했음을 보여주는 동시에, 조선 사회가 점차 농업 중심에서 상업적 유통 구조로 이동하고 있었음을 시사한다. 조선 정부는 이러한 변화를 점진적으로 반영하며 제도 개선에 착수하게 된다.
상평통보의 전국적 유통은 조선 후기에 본격적인 화폐경제를 가능케 했다
1678년(숙종 4년), 정부는 '상평통보'를 전국적인 통화로 통일하기로 결정하고 본격적으로 주조 및 유통에 나섰다. 상평통보는 앞선 여러 동전들과 달리 중앙정부가 일관된 정책 하에 관리하였고, 국가가 화폐 유통을 제도적으로 장악하려는 시도의 결과물이었다. 이 동전은 주조 단가보다 약간 높은 명목가치를 부여받아 유통되었으며, 이는 정부 재정에도 일정한 이익을 가져다주는 방식이었다. 상평통보의 전국적 보급은 도시 상업의 발전과도 맞물리며, 대동법 시행 이후 공물 대신 화폐를 납부하게 된 농민 경제 구조에도 큰 변화를 가져왔다. 특히 경강상인, 의주상인, 송상 등 전문 상인 계층의 등장은 상평통보의 안정적인 유통을 기반으로 가능해졌으며, 이는 조선 후기에 상업과 시장이 활성화되는 주요 요인 중 하나였다. 그러나 상평통보는 은이나 금 같은 귀금속 기반이 아니었기 때문에, 물가 안정성과 화폐 가치 보존 측면에서는 한계를 지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상평통보의 성공은 조선이 중세적 물물경제를 넘어 초기 근대적 화폐경제로 나아가는 결정적 전환점으로 평가된다.
당백전의 실패는 조선 후기 경제 위기와 화폐 정책의 한계를 드러냈다
1866년 흥선대원군 집권 시기, 정부는 국가 재정난과 경복궁 중건을 위한 재원 마련을 목적으로 '당백전'을 발행하게 된다. 당백전은 기존 상평통보의 백 배 가치를 지닌 고액 화폐로 설계되었으나, 실물 금속의 양은 상평통보와 거의 차이가 없었다. 이는 명백한 인플레이션 유도 정책이었으며, 민간에서는 이를 화폐 가치의 붕괴로 인식하였다. 결과적으로 시장은 혼란에 빠졌고, 상인과 민중의 신뢰는 급격히 무너졌으며, 물가 급등과 물자 부족 현상이 발생하였다. 정부는 곧바로 당백전의 주조를 중단했지만, 이미 발생한 경제적 손실은 되돌릴 수 없었다. 당백전의 실패는 조선 후기 정부가 경제 구조에 대한 체계적 이해 없이 단기적인 재정 수단에만 의존했음을 보여준다. 또한 이는 당시 조선의 화폐 정책이 중앙은행이나 신용체계 같은 근대 금융 시스템을 갖추지 못했기에 겪은 구조적 한계를 상징적으로 드러낸 사례였다. 조선 후기의 이러한 화폐경제 변동은 결국 조선 사회 전체의 근대화 지연과 연계되며, 외세와의 경쟁에서도 불리한 구조를 고착화시키는 결과를 초래하였다. 이처럼 조선의 화폐제도 변화는 단순한 통화정책을 넘어서, 정치적 판단과 경제구조의 유기적 관계를 반영한 복합적인 역사 흐름 속에 위치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