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운동의 거대한 물결은 망명정부 수립으로 이어졌다
1919년 3·1운동은 조선 전역에 독립의지를 일깨운 역사적 사건이었다. 수십만 명이 거리로 나와 독립을 외쳤고, 이는 단순한 항의 시위를 넘어 전 민족적 운동으로 발전하였다. 이 운동의 결과로 국내외 독립운동 세력은 하나의 정치적 구심점을 만들 필요성을 절감했고, 그 결과 중국 상하이에 대한민국 임시정부가 수립되었다. 1919년 4월 11일, 임시의정원이 조직되었고, 대통령제 형태로 이승만이 국무총리 겸 대통령으로 추대되었다가 이후 내각 책임제 등 다양한 체제를 거치며 임시정부는 조선의 유일한 합법 정부로 자리매김하게 된다. 상하이를 거점으로 한 임시정부는 각 지역 독립운동 세력을 통합하고, 전 세계에 조선의 독립 의지를 알리는 외교 중심기구로 기능했다. 비록 실질적인 영토나 군사력을 보유하지 못했지만, 대한민국 임시정부는 조선 민족의 정치적 정통성과 주권 의지를 전 세계에 선언한 첫 번째 국가적 조직이었다는 점에서 매우 큰 의의를 지닌다.
임시정부는 외교를 통해 독립운동의 정당성을 국제사회에 호소했다
임시정부의 가장 중요한 활동 중 하나는 외교였다. 전 세계 강대국들이 제1차 세계대전 이후 새로운 국제 질서를 논의하던 시점에서, 조선 민족 역시 민족자결주의에 기반하여 독립을 요구하였다. 이승만은 미국에서 활동하며 ‘위임통치 청원서’를 국제연맹에 제출했고, 김규식은 파리강화회의에 대표로 파견되어 조선의 독립을 주장하였다. 그러나 열강은 일본과의 정치적 이해관계로 인해 조선의 독립 요구를 외면했다. 비록 외교적 성과는 제한적이었지만, 임시정부는 지속적으로 독립의 정당성을 국제사회에 알리는 활동을 멈추지 않았다. 독립신문을 창간하여 국외 한인들과 소통했고, 미국, 프랑스, 중국 등에 대표부를 설치하며 외교망을 구축했다. 이러한 활동은 세계 각국에 조선이 단지 반란을 일으킨 피지배 집단이 아니라, 정당한 정부를 가진 민족임을 알리는 데 기여하였다. 또한 임시정부의 외교는 후일 광복 이후 정부 수립의 국제적 정당성을 확보하는 기반이 되었다는 점에서도 큰 의미가 있다.
임시정부는 해방 후 대한민국의 법통으로 계승되었다
대한민국 임시정부는 수립 이후 여러 차례 위기를 겪었음에도 불구하고, 지속적인 조직 유지와 독립운동을 이어갔다. 특히 1930년대 이후 항일 무장 투쟁의 지원과 조율을 통해 실질적인 독립운동의 총본산으로 기능하였고, 한국광복군 창설을 통해 군사력의 기반도 확보하였다. 임시정부는 중국 국민당 정부와 협력하여 전시 동맹의 일원으로 일본에 맞섰고, 이는 국제 사회로부터 일정 수준의 정치적 인정도 받아내는 데 도움이 되었다. 해방 이후 대한민국 정부는 임시정부를 법통으로 계승한다고 선언하였고, 이는 단절 없는 민족사와 독립운동의 정당성을 뒷받침하는 핵심 근거가 되었다. 오늘날 대한민국 헌법 전문에도 임시정부의 법통을 계승한다는 문구가 명시되어 있으며, 이는 임시정부가 단지 해외 망명정부가 아니라, 실제로 국가의 정체성과 주권을 지켜낸 실체였음을 보여준다. 비록 무장력이나 경제력은 부족했지만, 그들이 유지한 조직과 외교, 언론, 교육 등은 식민 지배하에서 꺼지지 않은 조선의 불꽃이었다. 대한민국 임시정부는 망명 속에서도 민족의 자존을 지켜낸 역사적 기념비이며, 오늘날 한국 민주주의와 주권 의식의 뿌리를 형성한 근대 국가의 시원이라 할 수 있다.